난계국악기제작촌 타악기공방

난계 박연선생의 얼을 이은, 소리의 과학이 있는 전통 국악기의 산실
우리의 소리 신명의 소리, 난계국악기제작촌 타악기공방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장구(杖鼓)

일종의 양면고(兩面鼓)로 허리가 가늘어 세요고(細腰鼓) 또는 장고(杖鼓)라고도 합니다. 두개의 오동나무통을 가는 조롱목으로 연결시키고 통의 양편은 가죽을 메웠습니다. 북편은 두꺼워서 낮은 소리가, 채편은 얇아서 높은 소리가 납니다.

제품 살펴보기

북(鼓)

나무나 금속 등 동체의 한면 또는 양면에 동물가죽 등의 막으로 된 물질을 장치한 악기를 총칭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소나 개의 가죽을 썼습니다. 우리나라의 북은 대략 20여 종이 있는데 그중 약 10종은 거의 쓰이지 않습니다.

제품 살펴보기

부자재(副資材)

타악기와 관련된 부자재를 취급하고 있습니다. 장구편(원피, 구피, 마피), 꽹과리(구리, 주석), 징, 북체(사물북, 소리북, 난타북), 장구채(궁체, 열체, 대뿌리 궁체), 꽹과리체(박달나무, 대나무 뿌리) 등이 있습니다.

제품 살펴보기

공예품(工藝品)

난계국악기제작촌 타악기공방에서는 미니어처 악기를 활용한 다양한 공예품을 제작, 공급하고 있습니다. 사물놀이SET, 매화장구,북저금통, 매듭SET, 북상패, 매화북, 단청북, 핸드폰고리, 열쇠고리 등이 있습니다.

제품 살펴보기
 

타악(국악) 체험프로그램

난계국악기제작촌 타악공방에서는 다양하고 유익한 국악관련 체험(어린이, 학생, 일반) 프로그램 및 타악예술 전공자 분들을 위한 특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당일형과 숙박형 프로그램 등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자세히 보기

세계최대북 - 천고(天鼓)

난계국악기제작촌 타악기공방(대표 이석제)에서 만든 세계 최대북(기네스북 등재)으로 북지름 5.5M, 북길이 6M, 북통지름 6.4M, 무게 7톤에 달하는 북입니다. 천고(天鼓)는 이름대로 하늘의 북으로 지상 어디에도 없는 세계 최대의 북입니다.

자세히 보기

국악박물관

우리나라 3대 악성에 속하는 난계 박연의 뜻과 업적을 기리고 국악에 대한 자료를 수집·전시·보존하기 위하여 2000년 9월 23일 개관하였습니다.국악실과 난계실·영상실 등이 있고, 정보검색코너와 국악기체험실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홈페이지 가기

국악체험촌

영동난계국악체험촌은 친숙하지만 자주 접할 수 없는 우리 전통음악을 체험할 수 있는 체험, 체류형 국악타운입니다. 우리소리관(공연장,연습실), 국악누리관(식당,객실), 소리창조관, 천고각(세계 최대북 천고 안치)등이 있습니다.

홈페이지 가기

난계국악기제작촌 타악기공방 제품소개

앉은반사물장구

사물장구_앉은반장구

사물장구(앉은반)는 국산 소나무 울림통과 가죽(궁편 황소가죽+채편 말가죽), 신주고리, 축승, 부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선반사물장구

사물장구_선반장구

사물장구(선반)는 국산 오동나무 울림통과 가죽(궁편 개가죽+채편 말가죽), 끈고리, 축승, 부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산조장단장구

장단장구_산조장구

장단장구(산조)는 국산 오동나무 울림통과 가죽(황소가죽_백궁편+채편 개가죽-구피), 신주고리, 홍면사실, 부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민요장단장구

장단장구_민요장구

장단장구(민요)는 국산 오동나무 울림통과 가죽(황소가죽 백궁편+채편 개가죽), 신주고리, 홍면사실, 부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정악장단장구

장단장구_정악장구

장단장구(정악)는 국산 오동나무 울림통과 가죽(황소가죽 백궁편+채편 개가죽), 끈고리, 축승, 부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무용장구

무용장구장구

무용장구는 국산 오동나무 울림통과 가죽(궁편 개가죽+채편 개가죽), 끈고리, 축승, 부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유아용장구

유아용장구장구

유아용장구는 국산 오동나무 울림통과 가죽(궁편 소가죽+채편 소가죽), 철사고리, 축승, 부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수제장구

수제장구장구

수제장구는 사전주문제작 제품으로 국내산 석산 오동나무 울림통과 최고의 가죽을 사용하여 제작하는 특별제품입니다.

 
법고

승무북(법고)

승무북(법고)(3종)는 국산 오동나무 및 물푸레나무의 울림통과 황소가죽, 삼베 배접, 단청, 선반받침으로 구성

쐐기북

쐐기북

쐐기북(3종)은 국산 오동나무 쪽통과 소가죽, 쐐기 및 축승으로 구성되어 있는 제품입니다.

난계사물북

난계 사물북

난계 사물북(3종)은 국산 오동나무 원통, 소가죽, 쐐기 및 축승으로 구성되어 있는 제품입니다.

난계조율

난계 조율북(4개 1조)

난계 조율북(5종)은 국산 오동나무 울림통,황소가죽,삼베 배접,조율장치,선반받침으로 구성.

 
난타북

난타북(4개 1조)

난타북(모듬북)(4종)은 국산 오동나무 및 물푸레나무 울림통,황소가죽,삼베 배접,선반받침으로 구성.

매화난타북

매화 난타북

매화 난타북은 국산 오동나무 울림통,황소가죽,산베 배접,선반 받침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진도북

진도북

진도북(36 X 24 cm)은 국산 오동나무 원통 울림통, 황소가죽으로 제작된 제품입니다.

난계소리북

난계소리북

난계소리북(3종)은 소나무 또는 참나무 울림통과 황소가죽, 단두침으로 구성되어 있는 제품입니다.

 
버꾸

서한우 버꾸

서한우 버꾸(남성·여성용)은 국산 오동나무 울림통,황소가죽,받침대로 구성된 제품입니다.(단청 선택)

북

북(대취타용고)

대취타용고는 국산 오동나무 , 삼베 , 황소가죽 , 축승으로 구성되어 있는 제품입니다.

굿북

굿북

원피소고(24 X 5 cm)는 소가죽(외피), 대나무(태), 가죽 줄로 구성되어 있는 제품입니다.

중고

중고

중고는 국산 오동나무 및 물푸레나무 울림통,황소가죽,받침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단청 선택)

 
대북

대북

대북은 국산 오동나무 및 물푸레나무 울림통,황소가죽,받침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단청 선택)

원피소고

원피소고

원피소고(24 X 5 cm)는 소가죽(내피), 대나무(태), 가죽 줄로 구성되어 있는 제품입니다.

내피소고

내피소고

내피소고(24 X 5 cm)는 소가죽(외피), 대나무(태), 가죽 줄로 구성되어 있는 제품입니다.

징

부자재

중고는 국산 오동나무 및 물푸레나무 울림통,황소가죽,받침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단청 선택)

 
꽹과리

꽹과리부자재

꽹과리(18 X 22 cm)는 구리 및 주석 제품으로 막쇠와 은쇠가 준비되어 있습니다.

장구편

장구편부자재

장구편은 소가죽(원피), 개가죽(구피), 말가죽(마피) 각 규격으로 준비되어 있습니다.

북채

북채부자재

북채는 사물북채, 소리북채, 난타북채가 있으며, 길이는 맞춤형으로 조절이 가능합니다.

장구채

장구채부자재

장구채는 궁채, 열채, 대뿌리 궁채가 있으며, 열채 길이는 맞춤형으로 조절이 가능합니다.

 
꽹과리채

꽹과리채부자재

꽹과리채(매구채)는 박달나무채, 대나무 뿌리채가 준비되어 있습니다.

탁상용세트

탁상용세트공예품

탁상용세트는 국산 오동나무, 소가죽 내피, 축승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매화장구

매화장구공예품

매화장구는 국산 오동나무, 소가죽 내피, 축승 및 단청, 받침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매화탁상용세트

매화탁상용세트공예품

매화탁상용세트는 국산 오동나무, 소가죽 내피, 축승 및 단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북저금통

북저금통공예품

북저금통은 국산 오동나무, 소가죽 내피, 단두침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체험장구

체험장구공예품

체험장구(장구 小)는 국산 오동나무, 소가죽 내피, 측승, 부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북상패

북상패공예품

북상패는 국산 오동나무, 소가죽 내외피(선택), 단두침, 단청, 받침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매화북

매화북공예품

매화북은 국산 오동나무, 소개죽 내외피(선택), 단두침, 단청, 받침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단청북

단청북/미니천고공예품

단청북은 국산 오동나무, 소가죽 내외피(선택), 단두침, 단청, 받침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매듭세트

매듭세트공예품

매듭세트는 국산 오동나무, 소가죽 내피, 축승(적색 또는 청색)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열쇠고리

열쇠고리공예품

열쇠고리는 소가죽, 구리, 주석, 축승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핸드폰고리

핸드폰고리공예품

핸드폰고리는 소가죽, 구리, 주석, 축승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난계국악기제작촌 타악기공방

난계 박연선생의 얼을 이은 소리의 과학이 있는 전통국악기의 산실
난계국악기제작촌 타악기공방 (대표 이석제)

  • 30여년간 장구와 북을 제작한 故 이대석 선생과 이성운 선생에게 제작기법을 익힘 그 후 장구/북 제작공방을 운영 중 충북 영동군과 협약을 맺어 현재까지 난계국악기제작촌 타악기 제작공방을 운영하고 있음.
  • 이석제 대표는 장구와 북소리를 좌우하는 가죽 선별기능과 전통방식의 가죽 무두질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전통방식의 울림통 제작기술을 모두 온전하게 계승한 장인.
  • 현재 장구, 북, 판소리북, 대북 등 다양한 종류의 장구와 북을 제작하고 있으며, 미국 국회도서관 한국전시관과 서울 국립국악원과 각 지역 도립국악원에 주요 작품이 소장되어 있음.
  • 백제 고악기 복원사업을 통한 전통제작기술 전승과 함께 국립국악원 악기연구소와 악기 개량에 대한 다양한 연구 작업을 진행함.
  • 국악의 고장 영동을 알리기 위해 15여년째 일반인과 전문가에게 전통방식의 장구/북 제작과정을 알리며 우리 전통 타악기 제작 전통의 맥을 이어가고 있음.
  • 2011년에는 그동안 익힌 전통제작기술을 동원해 ‘천고(天鼓)'(충북 영동군)를 제작해 세계 기네스북에 등재되었으며 전통악기제작 최고 전문가로 평가 받고 있음.
  • 현재 지역 국악활성화와 전통계승을 위한 각고의 노력으로 충북 도지사 공로패, 영동군 군민대상, 난계기념사업회 공로패 수상 등 다양한 단체와 기관에 그 공로를 인정받고 활발히 활동하고 있음.

난계 타악기공방 주요 연혁

  • 2012
    日本 國際大學校 감사패, 난계민속풍물단연합회 감사패
  • 2012
    영동군민대상 수상(142호), 한국국악기초평가위원회 지도교수
  • 2010-2011
    장단/사물장구 개량연구 진행, 새울전통타악진흥회 공로패
  • 2010
    '천고'대북(2012년 세계기네스북 등재), 백제고악기 복원작업 참여
  • 2009
    한국불교태고종 감사패
  • 2008
    소리북 개량사업 진행, 난계국악축제 추진위원
  • 2005-2006
    충청북도 공예품대전 은상(270호)
  • 2005-2006
    북 울림판 개량 연구사업 진행
  • 2005
    무주반딧불축제 추진위원(전통국악기 부문), 난계국악연구소 상임이사
  • 2003
    장구/북 가죽개량 연구사업 진행, (사)난계기념사업회 공로패
  • 2003
    충청북도 도지사 공로패 수상(55호)
  • 2003
    충남 갑사 법고(용고) 제작
  • 2002
    장구 울림통 개량연구사업 진행
  • 2002
    전국공예품경연대회 장려상(2002-10호)
  • 2002
    미국 국회도서관 한국관 장구/북 제작
  • 2000
    영동군 난계타악기 제작공방 입주 및 운영
  • 1993-2000
    장구/북 제작공방 운영(대전 산내동)
  • 1983-1993
    장구/북 제작기술 연마(대전 인동)

난계국악기제작촌 타악기공방 카타로그

난계국악기제작촌 타악기공방 안내 카타로그입니다.